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소식

미국 대통령 당선 '조 바이든',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의 대학교 출신은 어디?

 

이번 주 내로 결판이 날 미국 대선 결과 때문에 우리나라도 요즘 굉장히 관심이 많습니다. 온통 트럼프랑 바이든 얘기 뿐... 하기사 미국 대통령 대선은 거의 전 세계적인 관심사이긴 하죠. 현재 세계 정세를 주도하는 초강대국인 만큼 우리나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서도 큰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이죠.

역대급 대선 2020 미국 대통령 선거

근데 또 생각해보니 우리나라 인접국이자 영향력을 미치는 국가 중에서 선거로 국가 지도자가 바뀌는 걸 볼 수 있는 경우가 미국, 일본 뿐인데 일본은 직접선거제도가 아니라서 영 싱거워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먼 미래(?)에 중국이나 러시아도 지도자가 바뀐다면 이번 미국 대선급 이슈겠죠?

 

현재 미시간 주 · 네바다 주 · 위스콘신 주 등 경합주에서 바이든 승리가 거의 굳어짐에 따라 270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해 조 바이든의 당선이 사실상 확정된 분위기입니다.

 

쨌든, 저는 조회수는 뽑고싶은데 대학교 관련 이슈만 다루기로 한 만큼 뭘 할까 하다가 두 후보의 약력이나 좀 파헤쳐보고자 두 사람의 대학교 학력을 까보기로 했습니다. 사실 대통령 당락에 대학 어디 나왔는지는 그다지 중요한 건 아니긴 하지만...


먼저 민주당 후보 '조 바이든'부터!

정식 이름은 조지프 로비네트 바이든 2세(Joseph Robinette Biden Jr.)참 길죠? 유럽은 중간에 미들네임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워낙 다 부르면 길기도 하니 대체로 생략하는 편입니다.

 

기타 자세한 생애는 바로 생략하고,

 

조 바이든은 미국의 공립대학인 '델라웨어 대학교(University of Delaware)'에서 사학, 정치학 학사로 졸업했습니다.

델라웨어 대학교

 

미국 대학교 내 위상을 일일이 확인할 순 없으니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2021 QS 세계 대학 랭킹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약 541~550위 해당하는 순위를 기록한 곳입니다. 음... 솔직히 말해서 미국-영국 대학교에 순위가 많이 유리한 걸 감안하면 그렇게 높진 않습니다.

 

전 세계 기준으로 대략 우리나라 '인하대학교'와 비슷한 순위권입니다.이렇게 얘기하면 확 와닿으려나요?

TMI지만 부인인 '질 바이든' 역시 이 대학 출신. 다만, 문재인 대통령처럼 학교 CC로 만난 건 아니고 한참 뒤 질 바이든이 사실상 이혼한 후 만난 거긴 합니다.

대학생 시절 조 바이든

그렇지만, 학사보다 중요한 건 뒤이은 학력!

 

델라웨어 대학교를 졸업한 후 사립대학인 '시라큐스 대학교(syracuse university)'로스쿨에 입학해 석박사학위로 졸업합니다.

 

시라큐스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한 만큼 이후 변호사의 길을 걷습니다.

 

QS 기준 전 세계 순위는 601~650위에 랭크돼 있습니다. (아까보다 더 떨어졌잖아,,,)

대략우리나라의 '전북대학교'보다 약간 아래 순위입니다.그래도 로스쿨이니까 의미는 남 다르려나?

 

대학만 보면 뭐야... 싶긴 하지만 시라큐스 대학교 졸업 후 변호사로 뛰어든지 단 1년만에 뉴캐슬 카운티 의회 하원의원에 당선되었고, 이후 중앙 정계에 진출해 35년 간 7번의 상원의원, 거기에 두 번의 부통령까지 재임한 화려한 정치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말 대통령 빼고는 다 해본 사람.

 

과연 경력 마지막 줄을 미국 46대 대통령으로 채울 수 있을지...

 


다음으로는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대표사진 삭제

도널드 트럼프

아직까진 대통령 자리를 보전하고 있는 미국의 45대 대통령. 재선에 도전 중이죠.

풀 네임은 '도널드 존 트럼프(Donald John Trump)'. 바이든과 다르게 딱히 길거나 그렇진 않네요.

 

도널드 트럼프는 원래 미국 '포덤 대학교(Foldam University)'에 진학했으나 끝까지 졸업하진 않고 중간에 편입해

사립대학인'펜실베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경영학 학사로 졸업했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교

실로 어마어마한 최종학력인데

 

펜실베니아 대학교는 QS 기준 세계 16위에 랭크되어 있는, 미국에서도 일명 '아이비리그'라 불리는 명문대학 그룹에 속해 있는 학교입니다.국내 대학과 비교를 해보고 싶어도 우리나라 대학 중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서울대학교'가 37위라 어찌 할 수가 없군요...ㄷㄷ

 

그중에서도 세계 최고의 경영대학원이라 불리는 '와튼스쿨' 출신. 때문에 펜실베니아 대학교보다도 이 와튼스쿨 출신으로도 더 잘 알려져 있는 편이기도 합니다. 예전에 대통령 후보로 나왔던 '안철수'가 도널드 트럼프와 같은 와튼스쿨 출신임을 강조하기도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는 정확히 말하면 경영대학원 즉, MBA 출신은 아니고 학부에서 마쳐서 온전한 와튼스쿨 출신으로 평가하는 게 맞는가에 대한 논란이 조금 있긴 합니다.

(최근 대리 입학시험 논란도 터졌는데 이건 확실하지 않으니 패스)

기숙학교 시절 도널드 트럼프

경영학을 전공한 후 아버지의 가업을 물려 받기 위해 부동산 사업을 시작했고 몇 번 실패를 겪긴 했지만 망해간다고 평가받던 뉴욕을 부동산 투자를 통해 성공적으로 살려내며 대성공을 거둡니다. 우리나라 부동산이랑도 인연이 있는데 대우와 합작해서 세운 '대우 트럼프월드', 지금의 '푸르지오'가 여전히 우리나라의 유명한 아파트 브랜드로 명성을 떨치고 있죠.

 

정치에도 욕심이 있었으나 큰 두각은 드러내지 못하다가 2016년 힐러리 클린턴을 꺾고 미국 제45대 대통령에 당선되며 첫 번째 정치인 이력을 채웁니다. 무려 대통령이 자기 인생 첫 정치인 경력이라니... 조 바이든과는 정 반대로 엄청난 기록입니다.

 


 

 

암튼, 대학과 무관하게 두 사람 인생을 쭉 읽어보면 역시 대통령은 정말 아무나 하는 게 아니라는 걸 느낍니다.

 

나중에 서울시장, 부산시장 선거시즌이나 대통령 선거시즌이 되면 대통령 후보 약력 가지고도 한 번 글을 써봐야 겠네요. 미국 대통령 이상으로 제가 사는 도시, 국가인 만큼 누가 나올지 더 기대됩니다.

 

이상! 김나신이었습니다.

 

Outspread New

NASIN